Press ESC to close

(사)전남지방시대연구원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고속도로’ 국정과제 가속페달

한스경제 – 이성철 기자 [2025-07-08]

2030년 서해안 해상풍력 개통, 2040년 전국 U자형 연결 목표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초고압 전력망 확충 재원 확보 관건

[한스경제=이성철 기자] 기존의 화석연료에서 재생에너지 중심으로의 전환과 함께 전국 전력망을 잇는 ‘에너지 고속도로’ 건설 계획이 국정과제로 본격 추진된다.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는 최근 지난 대선 당시 이재명 대통령의 주요 공약 중 하나인 에너지 고속도로 건설을 국정과제에 반영키로 하고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 전력거래소를 비롯해 기후테크 분야 기업인들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위성곤 국정기획위 경제2분과 기획위원은 “경제 성장의 대동맥인 에너지고속도로 조기 건설과 기후테크 에너지 신산업 육성을 위해 기업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고 지원하겠다”며 “AI 기반 전력망은 에너지고속도로의 핵심”이라며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에서 기후테크 기업은 성장동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에너지 고속도로’는 단순히 전남 서남해안이나 동해안에서 생산한 전기를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등 수도권에 위치한 대규모 전력 수요처로 보내는 전력망 구축사업을 넘어 전국적으로 재생에너지 생산 확대와 함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실현하는 개념이다.

특히 기업들은 RE100 실현을 위해 재생에너지를 이용해야 하지만 정작 부족한 전력망으로 원활한 수급이 이뤄지지 못하는 상황이다.

떄문에 지역에서는 재생에너지가 남아돌고 기업들은 전력 부족을 호소하는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해법으로 에너지 고속도로가 주목받고 있다.

이에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서해안 해상풍력을 통해 생산한 전기 20GW를 주요 산업단지로 송전하고 2040년에는 전국의 주요 발전구역을 U자형으로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한다.

이를 통해 전력 흐름을 안정시키는 계통 안정화 설비, 고성능 장거리 송전선로, 과다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고 조절하는 ESS(에너지저장장치), 대규모 전력 수급을 위한 HVDC(초고압직류송전) 구축, 각 지역별 재생에너지 설비 확충 등이 통합적으로 진행되면서 국가의 에너지 산업이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재생에너지 특성상 날씨와 같은 외부 요인에 따라 발전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다소 제한되는 부분이 있다는 점은 극복해야 할 숙제로 남아 있다.

이와 함께 우선 민간의 투자 참여 등 재원 마련과 함께 경제성, 기술성을 면밀하게 검증하기 위한 제도 정비가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일각에서는 전력망 확충과 재생에너지 발전의 간헐성을 보완할 에너지 저장장치(ESS) 설비 확충 등을 따져보면 대략 100조원 이상이 소요될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전기업계 관계자는 “에너지 고속도로 건설이 현실화되려면 전기 요금을 인상하거나 상당한 국가 재정이 투입돼야 한다”며 “무리한 설비 구축에 앞서 현 발전 설비의 효용성 분석을 통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성철 기자 leesc@sporbiz.co.kr